직장 생활을 하다 보면 언젠가는 퇴직을 맞이하게 됩니다. 이때 가장 궁금한 것 중 하나가 바로 퇴직금 계산 방법입니다. 퇴직금은 근로자가 일정 기간 이상 회사에 재직하고 퇴직할 때 지급받는 금액으로, 생활의 안정과 미래 준비를 위한 중요한 자산이 됩니다. 이 글에서는 퇴직금 계산 공식부터 평균임금 계산법, 근속연수 계산 방식까지 차근차근 알려드릴게요. 퇴직을 앞둔 분들이나 미리 준비하고 싶은 직장인 분들은 꼭 끝까지 읽어보세요!
퇴직금 계산 공식
퇴직금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됩니다.
퇴직금 = 1일 평균임금 × 30일 × 근속연수
1일 평균임금이란?
1일 평균임금은 퇴직 직전 3개월 동안 받은 총임금을 총일수로 나눈 값입니다.
예를 들어, 최근 3개월 동안 총 750만 원을 받았고, 이 기간이 91일이었다면:
1일 평균임금 = 7,500,000 ÷ 91 ≒ 82,417원
주의할 점은 주말, 공휴일도 총일수에 포함된다는 것입니다.
근속연수 계산 방법
근속연수는 입사일~퇴사일 기준의 총 근무기간을 기준으로 합니다.
1년 단위로 계산하며, 1년 미만은 월 단위 또는 일 단위로 계산됩니다. 예를 들어 3년 6개월 근무했다면 3.5년으로 적용됩니다.
퇴직금 예시 계산
- 평균임금: 82,417원
- 근속연수: 3.5년
퇴직금 = 82,417 × 30 × 3.5 = 약 8,658,285원
퇴직금 언제 받을 수 있나요?
퇴직금은 퇴직일 다음날부터 14일 이내에 지급하는 것이 원칙입니다. 회사의 사정으로 인해 지급이 지연될 경우 법적 분쟁이 발생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.
아르바이트생이나 계약직도 받을 수 있을까?
네, 받을 수 있습니다!
주 15시간 이상, 1년 이상 근무한 경우라면 정규직이 아니더라도 퇴직금 지급 대상에 해당합니다.
마무리
퇴직금은 단순한 보너스가 아니라, 근로자의 권리입니다. 미리 계산 방법을 알아두고, 자신이 받을 수 있는 금액을 예상해보는 것이 현명한 퇴직 준비입니다.
궁금하신 분들은 고용노동부 홈페이지나 퇴직금 자동 계산기를 활용해보세요.
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댓글, 그리고 블로그 이웃 추가 부탁드려요! 😊
※ 본 글은 최신 노동법 기준(2025년 기준)으로 작성되었습니다.
댓글